전자기기 제조 설비 社 모듈러 디자인 컨설팅
본문
오 유 상 컨설턴트
▣ 컨설팅 범위: ⓕ 모듈 구조 사양/BOM 표준화, ⓔ 모듈 구조 정의/최적화
1. Business Challenge
4차 산업의 쌀이라 불리는 MLCC는 TV,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제품뿐 아니라 전기차, 자율주행차 등에 쓰이며, 특히 5G 시대를 맞이함으로써 많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고객사는 급변하는 MLCC 시장에 대응하고 경쟁 우위를 선점하기 위하여 더 작고 더 단단한 MLCC를 만들고 있습니다. 이로 인하여 MLCC를 제작하는 설비들도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양산에 들어간 설비 임에도 불구하고 성능 개선을 위한 개조 건수가 매년 늘어나고 있고 개조가 늘어남에 따라 야기되는 안정화 문제도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MLCC 대표 공정 중 박리/적층을 담당하는 STACKER 설비를 대상으로 모듈러 디자인 프로젝트를 수행하였습니다.
<MLCC 공정>
2. Our Approach
모듈러 디자인 프로젝트의 방향성을 확보하기 위해 인터뷰를 진행한 결과 기존 모듈러 디자인 프로젝트의 방향과 전혀 다른 프로젝트임을 인지하고 고객사에 맞는 방법론을 재 수립하였습니다. 모듈러 디자인이라고 함은 기본적으로 ‘최소한의 모듈로 많은 제품을 만들어 낸다’ 라는 목표를 가지고 프로젝트를 수행하지만 본 프로젝트의 목표는 ‘변경(개조)은 최소한으로 하고 무분별한 파생을 방지하자’ 였습니다.
먼저 어떠한 사유들로 인해 개조가 자주 일어나는지 현황파악부터 진행하였습니다. 하지만 현황 파악을 하기위해서는 설비 Master BOM이 필요했지만 표준화된 설비 Master BOM은 없었습니다. 원인을 파악해보니 고객사 입장에서 STACKER는 판매용 설비가 아니며 매년 양산하는 대수도 그리 많지 않아 관리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기 때문이었습니다. 하지만 설비 Master BOM이 없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습니다.
1) 제품 구성요소 (Unit, Assembly, Part) 명칭의 비표준화
2) 제품 구조의 비표준화
3) 비표준화로 인한 무분별한 파생
4) 관리점 증대
표준화된 BOM이 없으면 설계자마다 작성하는 BOM이 달라지게 됩니다. BOM 표준화가 선행되지 않으면 모듈 구조 정의를 위한 기준점이 없는 셈이었기 때문에 이것을 먼저 해결해야 했습니다. 먼저 양산 설비들의 부품들을 한곳에 모아 임의로 Master BOM을 만들어 상호간의 차이점을 비교 및 분석하였습니다.
표준화된/구조화된 BOM, 즉 E-BOM도 없었기 때문에 ‘기능 상위(Top-Down) 전개 – 구조 맵핑’ 방식을 통해 STACKER 설비의 BOM 구조를 새롭게 정의하였습니다. 보통 구조가 정의되면 Unit간 관계를 파악 후 이를 기준으로 당사가 가지고 있는 Tool을 활용하여 구조 개선을 위한 Clustering을 진행하게 됩니다. 하지만 STACKER설비는 ‘Roll To Roll’ 방식으로 Unit 간의 흐름이 명확하고 이 범주를 벗어나면 안 되는 설비이기 때문에 Clustering 방식으로 모듈을 정의하는 것이 적합하지 않다는 결론에 이르렀습니다.
E-BOM을 새롭게 정의한 후에 고객사의 커다란 Pain Point였던 변경(개조)를 최소한으로 하기 위한 작업을 바로 진행하였습니다. 솔루션으로는 모듈러 디자인 방법론 중 하나인 MFD (Module Function Deployment) 기법을 사용하였습니다. 여기서 STACKER의 변경(개조)에 영향을 미치는 사양 요인을 더욱 디테일 하게 파악하였고 이에 대한 관계도를 그렸습니다.
본 프로젝트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 무분별하게 Unit이 파생이 일어나지 않도록 Unit간의 인터페이스 관계도 (Interface Matrix)를 작성한 뒤 서로 연결되는 지점들을 표준화 (인터페이스 표준화) 하는 작업을 실시하였습니다. 이 작업에서는 기능적으로 개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되 다른 Unit에 파생되는 일이 없도록 최소한의 규칙으로 작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Business Result
기존에 고객사는 어떤 사양이 변경되면 어떠한 구조들이 변경되어야 하는지 하나하나 다 살펴봐야했습니다. 이는 MLCC 제품이 빠르게 변경되면 그만큼 MLCC 제품을 만드는 설비가 빠르게 대응이 되야 하는데 현재까지 그러지 못했음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본 프로젝트를 통해서 분석된 MFD를 활용하여 빠른 시장 변화에도 적시에 대응할 수 있는 상태가 되었고, 무분별한 파생을 막음으로써 개조에 대한 비용도 절감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모듈러 디자인에 대한 정답은 없습니다. 제품/소프트웨어의 고유의 특성, 회사의 문화, 사용자의 Needs, Neck Point 등의 상황에 맞춰서 사용해야 하는 방법론, 절차, 툴도 각각 다르며, 그에 대한 결과물은 천차만별입니다.
좀더 자세한 정보를 원하시면 고객 정보를 제공해 주시거나, 아래 연락처로 연락 바랍니다. 빠른 시일 내에 연락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Tel : 02 597 3262
Fax : 02 597 3261
Mail : pnpadvisory@pnpadvisory.com